반응형 [8] Utility Container IntroUtility Container는 본 강의에서 새롭게 정의한 용어이다. 해당 용어의 골자만 이야기하자면, 개발환경 설정 명목으로 node와 같은 d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동시에 다양한 부가 프로그램들이 Local 환경에서 설치되는데, 우리가 Container 환경에서 실행해볼 목적이라면, 단순히 개발 과정에 필요한 파일들만 Local 환경에 세팅하면 좋을 것이다. 이 때 Container의 격리된 환경 그리고 Binding Mount를 활용한다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을 Container환경에서 실행시키고 필요한 파일만 Binding Mount하여 Local에 가져옴으로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동작하도록 설정된 Container를 강의에서는 Utility Container라고 정의했다.U.. 2025. 3. 25. [7] Ochestration 2025. 3. 25. [6] Docker Network IntroUdemy 러닝크루 2기 스터디에 참여하면서 이번 주제는 Network에 대해서 공부했다. 사실 줄곧 Data Science 분야만 공부하다보니 API나 Network이런 개념에 대해서 생소했었지만, 지나가다 한번씩 경험해봤던 클라우드나 SSL 같은 개념들을 접하면서 Operation에도 많은 흥미가 생겼었다. 이번 게시글에는 Network를 공부하면서 배웠던 3가지 통신에 대해서 적어보려한다.데모앱을 Local에서 실행시키면... 강의에서는 강사님께서 구현하신 데모앱을 통해 Local 환경에서 mongoDB와 node를 통해 구현한 api 간의 통신에 대해서 먼저 설명해주셨다. mongoose라는 모듈을 사용하여 Json이라는 텍스트 파일을 기반으로 DB와 통신하는 단순한 앱이었고 정상적으로 .. 2025. 3. 18. [5] Argument와 Environment Value 설정 Intro내용을 입력하시오.ENV 설정1. Source Code상에 사용할 변수명을 넣어 코드 동작2. Dockerfile에서 정의 : ENV : ENV PORT 803. Dockerfile상에서 사용시 : $ + : $PORTARG오로지 ARG로 설정한 인수는 Source code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가 빌드되는 과정에서만 사용되는 값만 넣는 것이다. 애초에 설정자체가 전역이 아닌 지역 변수로 설정되는 것이기에 ENV과의 차이를 이해후 사용하면 좋다. 그런데 ARG > ENV $ARG 하면 쓸수 있긴함 ㅋㅋ이런 구조를 쓰는 이유는 하나의 Image에서 여러 Container를 만들때 PORT를 쉽게 변경하기 위함세번째 질문/단계내용을 입력하시오.Outro내용을 입력하시오.인스타 주.. 2025. 3. 18.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