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LU] LOR과 TF-IDF를 통한 비교분석(Comparative Analysis) Intro비교라는 것은 여러 대상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논할 때 사용되는 단어이다. 자연어 처리에서 비교분석은 두개 이상의 Docs 중 어떤 Docs의 빈도가 더 높은지를 측정할 때 사용되곤 합니다. 특히나 logit 같은 경우에는 정말 빈도의 상대적인 차이 정도를 수치화 시켜놓았습니다. 반면 TF-IDF 단순히 Score의 개념을 넘어 Vector로 확장시켜 Semilarity를 계산하는 측도로도 사용되곤 합니다. 이번 칼럼을 통해서 logit과 TF-IDF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게 보겠습니다.LOR : log + Odds RatioLOR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odds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odds란 발생한 횟수 / 발생하지 않은 횟수로 나눈 상대적인 값입니다. 확률이랑은 .. 2024. 11. 10. [3] Git과 Github 관계 톺아보기(이론 및 실습) Intro지난 시간에 git을 통해서 local 공간 내 작업 중인 Working Directory를 형상관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워크플로에 대해서 실습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협업과 프로젝트의 형상관리로 유명한 원격 저장소 github에 대해서 알아보며 git과 연동하는 방법 그리고 협업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Github란 무엇인가?github란 원격 저장소에서 프로젝트, 제품 등에 대한 형상관리를 지원해주는 플랫폼입니다. github가 주는 가장 큰 장점은 fork 등의 기능을 통해서 다른 사람의 작업물에 참여하거나 프로젝트나 제품을 개선시키거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많은 개발자들이 github를 통해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형상관리하.. 2024. 11. 9. [2] Git을 통한 형상관리(실습) Intro이전 Git을 통한 형상관리(이론) 편 칼럼을 통해 Git을 통해 형상관리하는 기초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론 편에서 다룬 파이프라인을 실제로 사용해 보면서 Git을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Git의 기초 파이프라인에 대한 이해1. 작업할 공간을 git으로 관리할 수 있게 세팅하기 (init , commit)먼저, 작업할 디렉터리를 생성합니다.이후 작업할 공간에서 형상관리를 위해 git을 설치 및 초기화해 줍니다.# work directory 생성mkdir work# work directory로 이동cd work# git 초기설정git init 2.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두 가지 축을 이해하기 (bran.. 2024. 11. 8. [1] Git을 통한 형상관리(이론) Intro : Git을 왜 사용하면 좋을까? Git과 Github를 공부하면서 또는 작게나마 사용해 보면서 경험했던 고민들을 정리해 보는 형식으로 칼럼을 작성해 볼 예정입니다. 다만 본 칼럼 시리즈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git과 github를 활용한 협업을 이해하기 위한 내용들을 다룰 것이기 때문에 협업을 하기 위한 내용들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본 칼럼들을 정독하시면서 Git과 Github을 활용하여 협업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Git은 한 Device에서 작업한 내용에 대한 형상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형상관리 도구입니다. 이는 비단 프로그램밍 뿐만이 아니라 문서나 디렉터리 구조 등 컴퓨터 내에서 작업한 작업들에 대한 형상을 기록 및 관리할 .. 2024. 11.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