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Certificate

사회조사분석사 2급 실기 합격후기

by Finn# 2024. 10. 3.
728x90

Intro

 2024년도 1회 정기기사 시험에서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시험에 합격한 이후 1회 차에 바로 시험에 응시하지 않았습니다. 이때 Naver Connect Foundation에서 진행하는 Boostcamp Ai Tech에 입과 해서 교육을 받고 있는 중이었고 준비되지 않은 자격시험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24년도 1학기가 끝나고 방학 시기에 실기시험을 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바로 필기시험 후에 실기 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는 분들은 바로 보시길 추천합니다. 필기 공부한 내용이 실기 필답형 공부할 때 많이 쓰입니다 ㅠ

Q-net에서 관심이 가는 시험이 이제 몇개 안남았네요..


배경 지식

  실기시험을 준비하기 전에 제가 가지고 있었던 지식들을 정리해보면 지난 필기시험에 공부했던 내용들을 토대로 조사분석론에 대한 지식이 틀만 조금 잡혀있는 정도였으며, 통계학은 마찬가지로 기초통계학과 수리통계학, 베이즈이론 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가 되어있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R, Python을 이용한 분석은 여러 번 수행해 보았지만 SPSS, SAS를 이용한 분석 경험은 많지 않아서 작업형 문제를 풀기에 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태였습니다. 다만, 기본적으로 통계 분석이 어떤 프로세스를 따르는 지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해당 통계툴에 대해 크게 걱정하진 않았습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면 다른 언어도 금방 배우는 것과 같은 원리인 것 같습니다.


시험장 분위기 및 준비물

 사회조사분석사 2급 실기시험은 2번의 시험에서 받은 점수를 합산하여 총 60점을 넘으면 합격하는 시험입니다. 첫번째 실기시험은 필답형으로 조사방법 및 통계학에 대한 기초 이론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총 배점은 60점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시험은 작업형으로 SPSS, SAS 등의 통계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시험입니다. 총 배점은 40점입니다. 두 시험에서 획득한 점수를 합쳐 60점 이상이 되면 합격하는 시헙입니다.


 준비물은 필답형의 경우, 신분증과 응시원서, 수정테이프 정도 챙겨가시면 됩니다. 작업형의 경우도 통계 도구를 활용해서 분석한 후 결과를 문제지의 빈칸에 채워 넣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필답형과 마찬가지로 신분증과 응시원서, 수정테이프를 챙겨가시면 됩니다. 실기 필답형의 경우에는 기존 Q-net 실기 시험을 응시하는 것과 같은 유형의 시험지를 나눠줍니다. 따라서 시험지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수기 게시글을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2년 2회 정보처리기사 실기합격 후기

Intro 안녕하세요.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에 이어 실기 합격 후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 정보처리기사는 2020년도 개정이후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실무에 근접한 역량을 갖추게하기 위하여

finns-know-how.tistory.com


공부 방법 정리

 저는 필답형과 작업형을 한 권으로 공부했습니다. 필답형의 경우에는 필기 때 공부했던 내용을 단답형 또는 서술형으로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작업형의 경우에는 흔히 데이터 분석하면 거치는 프로세스를 SPSS, SAS 툴을 가지고 수행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두 유형 모두 기출 위주로 공부해 가시면 좋은 결과 얻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공부하시면서 헷갈리는 개념들이 있으시면 꼭 그런 개념들 위주로 정리해서 시험장에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필요한 내용만 정말 알차게 정리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

 

 제가 사용했던 교재는 에듀윌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한 권 끝장이었습니다. 저번 필기 합격수기와 마찬가지로 자비로 구매한 교재가 아니며 학교 도서관에서 대출해서 사용했습니다. 제가 재학 중인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 도서관에는 너무 오래된 책들만 있어서... 여수 캠퍼스 도서관에 가서 수험 도서를 빌릴 수 있었습니다. 책 구성은 정말 시험에 필요한 내용만 집약되어 있었습니다. 제 경우 시간이 날 때마다 책 전반부에 소개되어 있는 개념을 필사하면서 개념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으며 관련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빈출 되는 개념들을 위주로 정리하며 공부했습니다. 그렇게 한 일주일 정도 공부했었고 총 투자한 시간은 20시간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공부하시면 합격은 충분하실 것 같고 시간이 없으시다면 꼭 관련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시고 비슷한 유형들에 대한 대비를 하셔서 응시하시면 좋을 결과 있으실 겁니다!

 

 작업형의 경우는.. 제가 개인 작업용 디바이스로 Mac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전에 SPSS를 활용해서 과제를 수행한 경험이 있었기에 SPSS 프로그램(체험판)을 사용할 수 없었던 상황이라 주어진 책 내용을 암기하다시피 공부하고.. 시험장에 가서 처음으로 SPSS 툴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시험장에 가서도 완벽하게 SPSS를 다룰 순 없었지만 수행해야 할 작업에 대한 파이프라인을 사전에 구축해서 암기했었기 때문에 금방 툴에 적응하고 문제를 풀 수 있었습니다. 물론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이 글을 읽으신다면 꼭 아래 게시글을 통해 체험판을 통해 충분히 연습하시고 응시하시길 바랍니다. 에듀윌 책에 작업형에 대한 기출을 많이 수록하고 있고 꽤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꼭 여러 번 작업해 보시고 숙련해 가신다면 작업형도 걱정하실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IBM SPSS 소프트웨어

IBM SPSS 소프트웨어의 고급 통계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기회를 발견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며,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www.ibm.com

 


Outro

예전에는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에 전혀 돈이 아깝지 않다고 느꼈는데 시간이 지나고 자격증들을 취득하고 나니 또 새롭게 생겨나는 자격증들을 취득해 나가는 과정에서 성취감도 있지만 적지 않은 피로감과 금전 부담도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취업을 하고 여유가 생기게 된다면 그때 또 취미나 자기개발을 위해 자격증 공부를 해볼 것 같습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해당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모든 수험생분들을 응원합니다 !

 

인스타 주소 🎗

https://www.instagram.com/f.inn_shar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