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3 [계절] 번역! 컴파일 어떻게 하는데? 컴파일은 어떻게 진행될까? 먼저,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능"에 관련한 알고리즘을 작성한다. 코드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었다고 생각한다. # include로 사용할 라이브러리 명시 # define으로 메크로 정의 //주석 (메크로 사용된) 코드 먼저 한가지 생각해볼 내용이 있다. 우리는 주변에 돌맹이를 흔하게 볼 수 있고 돌맹이를 이용해서 못을 박을 수 있다는 것을 알지만 차고에서 망치를 가져와서 못을 박는다. 왜 그럴까? 스스로가 알고 있는 것이다. 못을 박는 수 많은 방법이 있지만 망치라고 정의된 도구를 활용하는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마찬가지도 프로그래밍도 이렇게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정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C에서 많이 활용되는 도구들에는 i/o와 관련된 표준라이브러리와 표준 라이브러리.. 2023. 7. 6. [계절] 나는 기계어를 못쓰는데..? 혹시 기계어를 사용할 줄 아시나요? 누군가와 소통하려면 그 대상이 이해하는 몸짓이나 언어를 통해서 대화를 해야할 거에요. 그런데 저는 하드웨어가 소통하는 언어인 기계어를 잘 모릅니다.. 그럼 저는 하드웨어에게 명령을 내리지 못할까요? 그렇다면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은 그대로 끝났겠죠. 저희는 우리들이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언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하드웨어에게 명령을 내려주고 싶었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언어가 흔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C, C++, Java, Python 등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저급 언어? 고급 언어? 빠르고 간단하게 정의하고 넘어갑니다. 기계어, 기계어와 일대일 대응되는 언어를 저급언어라하고 직접적인 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언어들이다. 반면에 번역을 통해 하드웨어에게 .. 2023. 7. 6. [계절] Hard ware? Soft Ware? + os, driver Hard ware - 하드웨어는 제어, 연산, 기억, 입출력 등등 어떠한 기능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물리적 장비를 의미한다. - 하드웨어는 기계어로 소통할 수 있으며 일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하드웨어는 하드웨어만의 독자적인 조작법이 존재할 것이다. (기억) - 하드웨어는 기계어로 소통한다는 점을 잘 기억해두자, 컴파일에 대해 이해하려면 이점을 기억해야한다. Soft ware - 소프트웨어는 자료를 입력받아서 정보를 만들어주는 작업을 한다. -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게 일을 시키는 주체가 된다. - 언어와 무관하게 Sementic 차원에서 일처리 순서, 알고리즘으로 정의 된다. OS -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에게 일을 시킬 때 동일한 기능이라도 하드웨어가 달라지면 명령이 달라진다. (흔히 IoT.. 2023. 7. 6. [계절]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목적 우리는 왜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공부하는가 ? - 기술의 발전 측면에서 농업혁명 > 산업혁명(증기) -> 전기 -> 컴퓨터(국소 제어 : 임베디드) -> 4차 산업혁명(포괄 제어 : 컴퓨터 -> 컴퓨터 + 지능) 기술의 발전 순서는 위과 같다. 생산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고 지금은 점점 인간을 "대체"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초창기 컴퓨터는 인간의 일부 기능을 대체하였고 지금은 AI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어 인간을 조금씩 뛰어넘는 분야가 나오고 있다. 그리고 머지않아 특이점 시대가 올 것이라 한다. 특이점 시대란 기계가 인간을 넘어서는 시대. 즉, 인간보다 더 똑똑해지는 시대라고 한다. 우리는 이러한 기술의 변화에 적응해야하고 이런 기술들은 프로그래밍을 통해 세상에 구현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함께하.. 2023. 7. 6. [handling] unique - 교유값 확인 numpy와 padas에서 고유값 확인하는 방법 # numpy np.unique(ndarray) # pandas Series.unique() Dataframe.unique() 개념 정리 고유값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핸들링할 때 pandas를 활용하는 방법은 익히 알려져있지만, numpy로도 고유값에 대한 활용이 가능하니 꼭 알아두자. 오히려 numpy를 활용하는 경우가 핸들링에 유리하게 작용할 때가 분명 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해보자. 활용 예시: # y가 여러 수준값을 가지고 있을 때, 고유값을 활용하기 좋다 for l, c, m in zip(np.unique(y), colors, markers): 인스타 주소 🎗 https://www.instagram.com/f.inn_sharp/ 2023. 5. 2. [Logistic Regression] - Sigmoid, 처음 등장한 목적함수 Sigmoid란? 1. sigmoid에 대한 정의와 의미에 대해서 설명한다. 2. 비용함수에 그냥 임계함수를 씌우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목적을 수행하기위해서 sigmoid 함수를 씌웠다. ( 전개와 관련된 지식을 여기서 다 소개하자 ) 3. 오즈비(odds ratio) 가능도 = pi(0, inf) 로그가능도 = 가산법으로 변환 (추가 정리 ) 4. 가능도(likelihood) 가능도 = pi(0, inf) 로그가능도 = 가산법으로 변환 (추가 정리 ) 5. 로그 가능도 가능도 = pi(0, inf) 로그가능도 = 가산법으로 변환 (추가 정리 ) sigmoid의 정체는 000이다 (그림) sigmoid의 목적은 확률을 구하는 거잖아, 그니까 sigmoid 저게 pdf인지 cdf인지 알아내서 정리해보자. .. 2023. 4. 17. [Logistic Regression] - 로지스틱회귀 이해하기 로지스틱회귀란? 문제 풀이 시 필요한 개념 : 답 회귀라면서..? 왜 분류모델이야? (그림) 회귀식을 사용한 분류모델이다. 왜 분류모델인지 설명해보자. 로지스틱회귀 수식으로 이해하기 (수식) 내용을 입력하시오. 인스타 주소 🎗 https://www.instagram.com/f.inn_sharp/ 2023. 4. 17. [likelihood] - 가능도와 최대가능도추정에 대한 고찰 가능도란 무엇인가? 내용을 입력하시오. 가능도함수란 무엇인가? 내용을 입력하시오. 최대가능도추정치란 무엇인가? 내용을 입력하시오. 따로 추가할 내용 내용을 입력하시오. Outro 내용을 입력하시오. 인스타 주소 🎗 https://www.instagram.com/f.inn_sharp/ 2023. 4. 17. [Adaline] - 경사하강법(GD) 완벽정리 경사하강법이란? 앞 게시물에서 설명한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하고 해당 챕터를 읽기바란다. ( 이전 게시물 ) 1. 경사하강법의 정의 2. 사람의 입장과 컴퓨터의 입장 이해해보기(서로의 처지에 대해서 ) 3. 큰 프레임을 기반으로 모델마다의 해석을 통해 이해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하자. 아달린 모델을 경사하강법으로 이해해보자 (그림) 앞서 살펴보았던 용어들을 plot으로 시각화하여 개념들에 대해서 설명해보자. 모델은 아달린으로 설명하자. 1. wx + b = y_het을 만드는 과정 - 회귀선의 형성에 대한 이해 2. loss의 의미에 대해서 이해해보자 . 3. cost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해보자. 4. cost(w) 와 w 간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해보자. 5. cost(b)와 b 간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해보자.. 2023. 4. 1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 반응형